이 글은 30 Days of Streamlit을 한글로 번역 및 쉽게 풀어쓴 내용입니다.
쉽게 말해 Streamlit Tutorial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원본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.
환경
- Windows 10
- Python 3.10.11
- Streamlit 1.22.0
0. 들어가기에 앞서
- streamlit은 web 기술을 몰라도 쉽게 웹앱을 배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파이썬 라이브러리입니다.
- 데이터를 분석한 내용을 빠르게 시각화하고, 쉽게 배포하는데 용이합니다.
- streamlit cloud에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하면, github 저장소에 streamlit 프로젝트를 올리는 것만으로도, 내 프로젝트를 웹으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.
- 그런데... 일단 사용법을 배워야겠죠?
- streamlit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 봅니다. [ https://streamlit.io/ ]
- streamlit 좋다!라고 크게 광고하는 화면 위쪽에 Docs가 보입니다. 클릭!
- 저희는 완전 뉴비이기 때문에 Get started를 클릭해 줍니다.
- 여러 가지 글 중, 제 이목을 끈 건, 바로 30 Days of Streamlit
- 따분하게 함수 하나하나 공부하는 것보단 클론 코딩을 하며 직접 기능을 개발해 보는 게 제 취향입니다.
- 이렇게 시작하게 된 30 Days of Streamlit. 제발 제가 끝까지 마무리하길 기원해 봅니다.
1. 목표
- 환경 설정
- streamlit hello 명령어로 아래 화면 띄우기
2. 환경 설정
2.1. 가상환경 만들기
- 저는 아나콘다 대신 pure(?) Python 환경에서 개발해서 아래와 같이 .venv라는 이름의 가상환경을 만들었습니다.
(아나콘다 쓰시는 분들은 원본 링크 보고 따라 하시면 됩니다. https://30days.streamlit.app/ )
$ python -m venv .venv
- 가상환경 폴더로 진입하여, Scripts\activate.bat 을 입력해 가상환경에 진입합니다.
- 가상환경에 진입하면 아래와 같이 경로에 (.venv)가 붙습니다.
※ cmd가 아닌 powershell로 하시는 분들은 (.venv)가 안 붙을 수도 있습니다.
※ 저는 찝찝해서 cmd로 진행하는 걸 추천드립니다.
2.2. streamlit 설치하기
- 여타 다른 라이브러리 설치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. pip로 아래와 같이 설치해 줍니다.
3. 샘플 화면 띄우기
- 본격적으로 streamlit을 공부하기 전에, streamlit으로 어떤 웹앱을 만들 수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입니다.
- 커맨드 창에 아래와 같이 streamlit hello 를 입력해 보세요
- Email 입력하라는 문구가 나오면, 무시하고 그냥 엔터 치시면 됩니다.
- 그러면 아래와 같이 웹 페이지가 뜹니다.
- 이것저것 클릭해 보면서 streamlit으로 어떤 걸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!
- 샘플 페이지가 뜬다는 것 자체가 streamlit이 잘 설치되었다는 증거입니다.
- 이로써 Day1이 끝났습니다!!
'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0 Days of Streamlit] Day3. 버튼 위젯 사용법 (0) | 2023.06.10 |
---|---|
[30 Days of Streamlit] Day2. 첫 Streamlit App 실행 (0) | 2023.06.06 |
[Python] 자주 사용하는 String Format 정리[feat. locals()] (0) | 2023.05.19 |
[Python] 컬럼 type이 list인 DataFrame에서 subset 구하기 (0) | 2023.05.17 |
[Python] 버퍼를 이용해 input에 자동으로 입력하기 (0) | 2023.05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