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에는 나이 계산하는 방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. 1. 만 나이, 2. 연 나이, 3. 세는 나이.
2023년 6월부터 공식적인 나이를 '만 나이'로 통일시킨다고 하지만 한동안은 혼용해서 사용할 것 같네요.
1. 한국의 나이 계산 법 3가지
1.1. 만 나이
- 0살로 시작해 생일이 되면 한 살씩 먹음
- 국제 표준
- 현재 연도 - 출생 연도 - α
※ 생일이 지났다 → α: 0
※ 생일이 안 지났다 → α: 1
1.2. 연 나이
- 현재 연도 - 출생 연도
1.3. 세는 나이
- 한국식 나이
- 태어나자마자 한 살이고, 새해마다 한 살을 또 먹는 '세는 나이'
- 현재 연도 - 출생 연도 + 1
1.3.1. 예시 1
- 출생연도가 2003.01.02 인 사람은 2023.01.01 기준으로
- 만 나이: 2023 - 2003 - 1 = 19세
- 연 나이: 2023 - 2003 = 20세
- 세는 나이: 2023 - 2003 + 1 = 21세
1.3.2. 예시 2
- 출생연도가 2003.01.02 인 사람은 2023.01.02 기준으로
- 만 나이: 2023 - 2003 - 0 = 20세
- 연 나이: 2023 - 2003 = 20세
- 세는 나이: 2023 - 2003 + 1 = 21세
2. 2023년부터 '만 나이' 적용
○ 06.28부터 시행될 예정
○ 행정적, 사회적 혼란 줄이겠다는 취지
○ 일부 법률은 '연 나이' 유지
- 병역법, 청소년 보호법, 초·중등 교육법 등 52개의 법률에는 당장 '만 나이'가 적용되지 않음
- 즉, 당장 바뀌는 건 거의 없으므로, '군대 일찍 가야 돼?', '1월 1일에 술 못 사나?'와 같은 걱정은 안 해도 됨
- 혼선을 막고자 당장 모든 법률이 '만 나이'로 변경되지는 않음
'연도별 정보 > 202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대출] 특례보금자리론 쉬운 정리 (0) | 2023.01.13 |
---|---|
2023 청년도약계좌 쉬운 정리 (0) | 2023.01.07 |
2023년 공휴일 정리 (0) | 2023.01.03 |
2023년 달라지는 것들 요약 (0) | 2023.01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