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빠르게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.
글 마지막 부분의 혜택 계산을 보면 생각보다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.
1. 청년도약계좌란?
- 윤석열 정부의 청년 공약 중 하나
- 5년 만기 시 최대 5,000만 원까지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제도
- 신청 시기: 2023.06 도입 예정 ~ 2025.12.31
2. 구체적 내용
2.1. 정부 지원금
-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, 본인 납입금액에 따라, 다르게 지원
- 자세한 사항은 아래 표 참조
2.2. 월 납입 한도: 정부 지원금액과 합산하여 최대 70만원
- 본인 납입액 + 납입액 비례 지원금: 항상 최대 70만 원
- 연 소득 2,400만 원 기준으로 항상 정부 지원금 40만 원이 나오는 것이 아님. 본인이 30만 원을 납입했을 때 기준 40만 원이고, 본인이 30만 원보다 적게 입금하면 정부 지원금은 40만 원보다 줄어듦
2.3. 이자소득에 대해선 비과세 혜택
2.4. 소득공제 혜택
3. 가입조건
- 만 19세 ~ 만 34세 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까지 제외)
-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 (근로소득 or 사업소득)
-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※ 기준 중위소득 자세한 설명: https://onsil-thegreenhouse.tistory.com/entry/%EA%B8%B0%EC%A4%80-%EC%A4%91%EC%9C%84%EC%86%8C%EB%93%9D-%EC%A0%95%EB%A6%AC
기준 중위소득 정리
◎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7인 가구 금액(원/월) 2,077,892 3,456,155 4,434,816 5,400,964 6,330,688 7,227,981 8,107,515 *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: 1
onsil-thegreenhouse.tistory.com
4. 혜택 계산
- 가정
> 연봉 2,400만 원 이하 기준
> 항상 최대로 30만 원 납입했을 때 기준
> 이자 연 3.5% 기준 (월복리)
- 표 설명
> 이자를 3.5%로 낮게 잡아서 5000만 원이 안되지만, 6월 출시할 때는 5000만 원 되도록 상품 출시 예상된다.
> 본인 납입액 합(1900만 원)과 정부 지원금 합(2600만 원)을 보면 알겠지만, 지원금이 어마어마하다.
> 원금 1800만 원, 수익: 2800만 원이라 보면 수익률이 155%이다. 웬만한 투자고수가 아니고서야 이 정도 수익률 내기 힘드므로, 자격이 된다면 안 할 이유가 없다.
'연도별 정보 > 202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대출] 특례보금자리론 쉬운 정리 (0) | 2023.01.13 |
---|---|
2023년 공휴일 정리 (0) | 2023.01.03 |
한국의 나이 계산법 총 정리 (0) | 2023.01.01 |
2023년 달라지는 것들 요약 (0) | 2023.01.01 |
댓글